본문 바로가기

꿀팁

아일리아,현대 안과 치료의 혁신적인 돌파구

아일리아(Aflibercept)는 습성 황반변성, 황반부종, 신생혈관 형성에 따른 시력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혈관내피성장인자(VEGF-A)와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GF)에 결합하여 신생혈관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습성 황반변성은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에 비정상적인 혈관이 생성되어 혈액과 삼출물이 흘러나와 시력을 손상시키는 질환입니다. 이는 노인 실명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 꼽히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아일리아는 첫 3개월간 월 1회 유리체 내 주사로 투여되며, 이후에는 격달로 주사를 받게 됩니다. 부작용으로는 눈의 통증, 백내장, 안압상승, 안내감염, 동맥혈전색전증, 면역반응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황반변성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 루테인과 지아잔틴 같은 황반색소를 복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일리아는 다른 약물인 루센티스(Ranibizumab)와 비교되곤 합니다. 루센티스 역시 습성 황반변성 치료에 사용되며, VEGF-A에 결합하여 신생혈관의 생성을 억제합니다. 두 약물 모두 단일클론항체에 속하며, 황반변성 치료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 아일리아의 고용량 관련 코멘트가 나왔는데, 이는 아일리아의 바이오시밀러 개발사들에게 중요한 이슈가 될 수 있습니다. 고용량 허가는 저용량 시장의 축소와 저용량 바이오시밀러 개발의 의미를 퇴색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일리아 시장에서는 특허 보유가 중요한데, 전세계적으로 삼천당제약과 알테오젠만이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해당 회사들에게 시장에서의 유리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들은 황반변성 치료제에 관심이 있는 환자나 의료 전문가, 그리고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것입니다. 아일리아와 관련된 최신 연구와 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주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일리아는 황반변성 외에도 여러 안과 질환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아일리아는 다음과 같은 질환들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항-혈관내피성장인자입니다.
- 신생혈관성 (습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
- 망막정맥폐쇄성 황반부종에 의한 시력 손상
- 당뇨병성 황반부종에 의한 시력 손상
- 병적근시로 인한 맥락막 신생혈관 형성에 따른 시력 손상
이 약물은 차별화된 작용기전과 입증된 시력 개선 및 유지효과, 그리고 4가지 적응증에 걸쳐 확인된 안전성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많은 환자들에게 처방되고 있습니다.

주요 부작용


- 안구내염(Endophthalmitis)
- 외상성 백내장(Traumatic cataract)
- 일시적 안압 상승(Transient intraocular pressure increased)
- 결막 출혈(Conjunctival hemorrhage)
- 유리체 박리(Vitreous detachment)
- 눈 통증(Eye pain)
- 유리체 부유물 (Vitreous floaters)
- 눈물 분비 증가 (Increased lacrimation)
- 눈충혈 (Conjunctival hyperemia)
- 안내감염 (Intraocular infection)
- 동맥혈전색전증(Arterial thromboembolic events)
- 면역반응(Immunogenicity reactions)
이러한 부작용은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치료를 받기 전이나 치료 중에 의사와 상의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부작용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루센티스(Ranibizumab)와 아일리아(Aflibercept)는 둘 다 습성 황반변성 치료에 사용되는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주사입니다. 그러나 두 약물 사이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1. 작용 기전: 루센티스는 주로 VEGF-A에 결합하여 신생혈관의 생성을 억제하는 반면, 아일리아는 VEGF-A 뿐만 아니라 PLGF에도 결합하여 신생혈관의 생성을 억제합니다.
2. 투약 빈도: 아일리아는 초기에 월 1회 주사 후, 이후 격달로 주사하는 반면, 루센티스는 일반적으로 매월 주사를 받습니다.
3. 부작용 및 안전성 프로파일: 두 약물은 비슷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지만, 발생 빈도와 중증도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아일리아는 루센티스에 비해 절반의 투약으로도 유사한 효능을 보였지만, 안내염, 비문증, 망막 장애 등의 발생 위험도가 다를 수 있어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약제 선택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환자 개개인의 상태와 치료 반응에 따라 의사가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는 데 중요한 고려사항이 됩니다.

아일리아(Aflibercept)와 관련된 최신 연구는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바비스모와의 경쟁: 로슈가 개발한 바비스모(Faricimab)는 아일리아의 주요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으며, 4개월 간격으로 주사가 가능한 항-VEGF 주사제로서, 아일리아(8주 간격 주사)에 비해 투약 횟수가 적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바비스모를 망막정맥폐쇄증(RVO) 환자 치료제로 처방 적응증을 확대 승인했습니다.
2. 아일리아의 지속력: 아일리아는 망막정맥폐쇄 적응증을 2014년에 FDA로부터 허가받았으며, 최근 고용량 제형의 허가 작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아일리아 8mg 제형의 신약 허가신청서가 제출되었으며, 임상 3상 결과에 따르면, 아일리아 고용량 제형은 바비스모에 비해 더 우수한 지속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3. 치료제의 처방 범위: 아일리아는 습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AMD) 및 당뇨병성 황반부종(DME)에 이어 망막정맥폐쇄증까지 적응증을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적응증 추가 결정은 BALATON 및 COMINO 연구 등 두 건의 임상 3상 결과를 근거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아일리아와 관련된 치료 옵션과 시장 경쟁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환자와 의료 전문가는 이러한 최신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치료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